장례정보

장례정보 > 종교별 장례절차

종교별 장례절차

천주교식 장례

생전에 영세를 받은 사람은 "성교예규 - 카톨릭의 관례로 되어 있는 규칙"에 의하여 장례를 치른다. 천주교에서는 신자로서의 정신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우리나라 풍습과 상례의식을 존중하여 병행하기도 한다. 임종이 임밥하여 급히 세례를 받고자 할 때, 신부를 모셔 올 시간적 여유가 없으면 교우회장이나 수녀로 부터 대신 세례를 받을 수도 있다. 가능하면 정신이 맑을 때 미리 세례를 받거나 영세를 받을 의사를 타진하는 것이 좋다.

※ 천주교식 순서

① 종부성사

마지막 숨을 거둘때 행하는 성사를 종부라고 하며 의식이 있을 때 신부를 청하여 종부성사를 받는데, 오늘날에는 명칭이 바뀌어 병자성사라고 한다. 이 의식을 행하기 전에 가족들은 환자의 옷을 깨끗하게 갈아입히고, 성유를 바를 얼굴과 눈, 코, 입, 손바닥, 발바닥 등을 씻어준다. 또한 상위에 흰 천이나 백지를 깔고 그 위에 십자고상과 촛대, 성수그릇, 성수 채, 작은 그릇 등을 준비한다. 신부가 도착하면 상위의 촛대에 불을 밝힌다음 신부와 환자만 남기고 다른 사람들은 모두 물러나는데, 이는 고해성사가 있기 때문이다. 고해성사가 끝나면 노자성체, 종부성사, 임종 전 대사의 순서로 진행한다.
* 종부성사 : 카톨릭의 칠성사의 하나. 중병을 앓거나 고령으로 인하여 죽을 위험에 처해 있는 신자가 받는다.

② 임종 전 대사

종부성사는 신부가 없이 운명했을 때에도 받을 수 있는데, 이때에는 주위에 있는 사람들이 환자를 위로하고 격려하는 말을 해주고 성서 가운데 거룩한 구절을 골라 읽어준다.

③ 운명

환자가 숨을 거둘 때에는 성촉에 불을 켜는데, 성촉이란 성랍으로서 신성한 용도로 쓰기 위해 보통의 것과 구별하여 말한 초를 말한다. 다음에는 임종경이나 성모덕시도문, 매괴경을 읽으며, 기도문은 숨을 거둔 다음에도 얼마동안 계속해서 읽는다. 환자가 마지막 숨을 거둘 때에는 떠나는 사람의 마음을 편하게 하기 위해 주위 사람들은 될 수 있는대로 흐느끼거나 통곡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

④ 초상

임종 후에는 깨끗한 옷으로 갈아 입히고 얼굴을 쓰다듬어 눈과 입을 다물게 하고, 손과 발이 굳기 전에 가지런히 해준다. 이때 두손을 합장시켜 십자고상을 잡고 있게 한다. 시선의 머리맡 상위에는 십자고상 (십자가에 못박힌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을 묘사한 상)을 모시고 양쪽에 촛불을 켠 다음 성수 그릇과 성수를 놓는데 입관할 때까지 이런 상태를 계속 유지해야 하며 가족들은 그 옆에 꿇어 앉아 위령 기도를 올린다.

⑤ 위령미사

연옥에 있는 사람을 위해 천주께 드리는 제사로서 연미사의 바뀐 말이다. 신도가 숨을 거두면 이 사실을 바로 본당신부에게 알리는 동시에 곧 미사 예물을 전하고 미사를 청한다. 그리고 장례날짜와 미사시간을 신부와 상의하여 정한다.
* 연미사 : 세상에서 지은 죄로 천국에 바로 들지 못할 때, 불에 의해서 그 죄를 정화하는 곳에 있는 사람을 위한 미사

⑥ 염습과 입관

천주교에서는 신자의 가족이면 부탁을 하지 않아도 염습에 경험이 있는 사람이 와서 고인의 시신을 알코올로 깨끗이 닦고 수의를 입힌 다음에 입관해준다.

⑦ 장례식

장례일에는 관을 성당으로 옮겨 위령미사와 사도예절(고별식)을 행하며 입관 및 출관과 하관은 성교예규에 따라 거행하고 화장을 할 수 있다.

⑧ 하관

장지에 다다르면 묘지축성 기도를 올리고 영구와 천광에 성수를 뿌린 다음에 하관기도를 하고 하관한다.

⑨ 소기와 대기

장례 후 3일, 7일, 30일에는 연미사를 드리고 소기, 대기때에도 연미사와 가족의 고해, 영성체를 실행한다. 천주교에서는 신앙의 본질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간소한 음식을 대접하거나 수시로 묘소에 찾아가 떼를 입히거나 성묘하는 것 등은 금하지 않고 있다.
* 영성체 : 성체를 영하는 일

기독교식 장례

사람이 운명한 다음, 시신의 수시로 부터 하관에 이르기까지 모든 위식과 절차가 목사의 집례 아래 이루어 진다. 운명과 더불어 찬송과 기도로 고인의 영혼을 하나님께 맡긴다는 뜻의 예배를 드린다. 초종 중에는 매일 기도회를 갖고, 유가족은 빈소에서 찬송이 끊이지 않게 하여 영혼을 하나님 앞으로 가까이 가게 한다. 기독교식 상례가 일반 상례와 다른 점은 곡을 하지 않고 음식도 차리지 않으며 절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 조석으로 전을 올리거나 상식을 올리지 않는다. 염습을 마치면 입관 예배를 드린다.

※ 영결식의 예배 순서

① 개식사 / 주례 목사의 개식사

② 찬송 / 주례 목사가 선택한다.

③ 기도 /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족을 위로하는 내용의 기도를 한다.

④ 성경봉독 / 보통 고린도후서 5장 1절이나 디모데전서 6장 7절 말씀을 낭독한다.

⑤ 시편 낭독 / 시편 90편을 낭독한다.

⑥ 신약 낭독 / 요한복음 14장 1절부터 3절이나, 데살로니가전서 4장 18절 말씀을 낭독한다.

⑦ 기도 주례 / 목사가 집도한다.

⑧ 고인의 약력 소개 / 고인의 생전 약력을 주례 목사가 소개한다.

⑨ 주기도문 / 주님이 가르켜 준 기도라 하여 식장에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다같이 한다.

⑩ 찬송 / 식장에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다같이 한다.

⑪ 헌화 / 고인의 명복을 빌며 영전에 바친다.

⑫ 출관

※ 하관식의 예배 순서

① 개식사 / 주례 목사의 개식사

② 기원 / 하나님의 춤으로 가기를 기원한다.

③ 찬송 / 식장에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다같이 한다.

④ 기도 / 주례목사가 집도한다.

⑤ 성경 봉독 / 고린도후서 15장 51절부터 58절까지 낭독한다.

⑥ 기도 / 식장에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다같이 한다.

⑦ 신앙고백 / 식장에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다같이 한다.

⑧ 취토 / 상제들이 봉분전에 흙 한줌씩을 관위에 뿌린다.

⑨ 축도 / 주례목사가 축복 기도를 한다.

불교식 장례

불교에서는 장례식을 다비식이라고 하는데, '다비'란 불에 태운다는 뜻으로 화장을 일컫는 말이다. 다비식은 불교의 의례 규범인 석문의범에서 설명하고 있지만 그리 자세하지는 않고 다만 추도의식의 순서만 그에 따라 장례의식을 거행한다. 임종에서 부터 입관까지의 절차는 일반 장례식과 거의 비슷하지만 영결식만은 다비에 의한 순서로 한다.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 다비식의 예배 순서

① 개식 / 호상이 맡아서 한다.

② 삼귀의례 / 불, 법, 승의 삼보에 돌아가 의지한다는 의례를 주례승이 행한다.

③ 약력보고 / 고인과 가까운 친지나 친구가 고인을 추모하는 뜻에서 고인의 약력을 간단히 소개한다.

④ 착어 / 고인을 위해 주례승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설법한다.

⑤ 창혼 / 극락세계에 가서 편안히 잠들라는 것으로 주례승이 요령을 흔들며 고인의 혼을 부른다.

⑥ 헌화 / 친지대표가 고인의 영전에 꽃을 바친다.

⑦ 독경 / 주례승과 모든 참례자가 고인의 혼을 안정시키고 생전의 모든 관계를 청산하고 부처님의 세계에 고이 잠들라는 경문을 읽는다.

⑧ 추도사 / 초상에는 조사라고 하며 일반에서 행하는 의식과 같다.

⑨ 소향 / 모든 참례자들이 향을 태우며 고인의 명복을 빈다.

⑩ 사홍서원 / 주례승이 하며 다음과 같다.

* 중생무편 서원도 : 중생은 끝 닿는 데가 없으니 제도하여 주기를 맹세한다.
* 번뇌무진 서원단 : 인간의 번뇌는 끝이 없으므로 번뇌를 끊기를 원하는 맹세이다.
* 법문무량 서원학 : 불교의 세계는 한량이 없으니 배우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 불도무상 서원성 : 불도보다 더 훌륭한 것이 없으니 불도를 이루기를 맹세코 원한다는 것이다.

⑪ 폐식 / 영결식의 모든 절차가 끝났음을 선언한다.

이런 순서로 영결식을 거행한 후 장지로 가는데, 불교에서는 화장을 한다. 화장할 떄 시신을 분구에 넣고 끝날 때까지 염불을 그치지 않으며, 다 타면 흰 창호지에 유골을 받아서 상제에게 주어 쇄골을 한 다음, 법주가 있는 절에 봉안하고 제사를 지낸다. 봉안한 절에서 49제와 백일제를 지내고, 3년 제사를 모신다. 3년 제사가 끝나면 봉안도의 사진을 떼어가는데, 이것은 전통 상례에서 궤연을 철거하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협력사